요추관 협착증 허리 통증

협착증은 다발성으로 생깁니다, 그러므로 초기에 아피톡신 면역 봉독요법!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는 경추든 흉추든 그리고 요추든 척추관 속의 인대의 비후, 후관절병증 그리고 척추체의 퇴행성 병변 등으로 인해 척추관(또는 척추강, Spinal canal)과 추간공(Intervertebral foramen)이 좁아져 척수와 척수신경을 압박하고 다리 혈관의 허혈이 생겨 요통, 엉덩이 통증, 다리의 통증 및 이상감각이 발생하는 신경학적 장애입니다.

 

요추관협착증 MRI 사진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알려진 이 질환은 주로 50대 이후에 다발하지만 청장년층에서 운동부족, 오래 앉아 생활하는 자세, 기왕력인 디스크 탈출증의 부적절한 치료 등으로 퇴행화가 더 빨리 진행되어 최근에는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척추관의 협착을 일으키는 원인은 주변 조직들, 척추체의 골극(Bony spur), 추궁근(Vertebral pedicle) 및 후관절(Facet joint)의 비후, 그리고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의 접힘이나 비후 등입니다. 이들 병리적인 원인에 의해 척추관, 추강공에서 신경 허혈(척추신경에 혈액 공급이 안됨), 압박(척추신경을 누름), 포착(척수 및 척수신경을 사방에서 압박함) 등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신경학적 장애가 발생합니다. 또한 척추관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혈관들의 순환장애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척추관 협착증이 일으키는 증상은…

 

허리 다리 아픈 노인의 이미지 일러스트

 

주로 다리의 통증 및 감각 장애 그리고 심한 경우 하지 근육의 위약으로 인한 보행 장애입니다. 다리가 아프거나 힘이 없어서 정상적으로 걷기 힘들어 걷다가 쉬다가를 반복하게 됩니다. 다리의 감각 장애는 둔하고 쑤시는 통증이나 감각 이상(“내 다리 같지 않다!”, “고무 다리 같다”), 쥐가 나는 느낌 등입니다. 이러한 통증을 의학적으로 좌골신경통(Sciatica)이라고 부릅니다.

한편, 이러한 좌골신경통은 허리 디스크 탈출증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데, 차이점은 통증의 강도는 허리 디스크 탈출증에 비해 다소 덜할 수 있는 반면 더 장기화된다는 점입니다.

허리 디스크 탈출증과 척추관협착증에서 나타나는 좌골신경통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전에 포스팅한 것이 있으니, 참조해 주세요.

https://drhwang-kmed.co.kr/%ea%b8%89%ec%84%b1-%ed%97%88%eb%a6%ac-%eb%94%94%ec%8a%a4%ed%81%ac-%ed%83%88%ec%b6%9c%ec%a6%9d%ec%97%90%ec%84%9c-%ec%83%9d%ea%b8%b0%eb%8a%94-%eb%8b%a4%eb%a6%ac-%ed%86%b5%ec%a6%9d%ea%b3%bc-%ec%a0%80/

 

만약 이 척추관 협착증적 병변이 허리가 목에 생길 때, 이는 또다른 질환으로 경추 척수증(Cervical myelopathy)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경추 척수증의 증상 역시 목 디스크 탈출증이나 경추 협착증에 기인한 신경의 압박이 되어 팔의 통증, 손의 저림이 나타나는데, 그 정도가 매우 심하고 손가락의 미세 동작 조차 불가능해지는 진행을 보이게 됩니다. 젓가락질이나 글씨 쓰기 등이 잘 되지 않거나 물컵 등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더욱 더 진행되면 다리에도 감각 저하, 저림, 보행 장애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 팔을 앞으로 나란히 한 채, 손목을 90도로 배굴하고 다섯 손가락을 모두 모은 상태로 일정 시간 지나면 손가락들이 슬~ 벌어지거나, 유아들의 잼~잼~ 하는 동작을 해보면 점차 손가락들을 오므리는 속도가 느려지기도 합니다. 이런 상태를 “척수증 손(Myelopathy hand)”라고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초기일 때 치료해야!

모든 병의 치료는 초기에 해야 효과가 좋다고 하는데, 특히 척추관 협착증은 초기에 치료해야 합니다. 이는 통증과 불편함의 감소에도 효과가 있고, 또한 진행을 막는데도 의미가 있고, 무엇보다 중등도 ~ 후기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치료가 무척 무척 어렵기 때문입니다.

​작년에 양산에서 목과 허리에 협착증이 있는 당시 67세의 남자 환자를 치료한 적이 있었는데요, 이 협착증적 상태가 초기인 까닭에 비교적 짧은 기간에 치료를 마쳤습니다.

이 환자에 대한 치료 사례와 경과를 보시려면 아래 링크에서 클릭해주세요. (의료법상 로그인 절차가 필요합니다.)

https://drhwang-kmed.co.kr/reviews/%ea%b2%bd%ec%b6%94%ec%99%80-%ec%9a%94%ec%b6%94-%ec%b2%99%ec%b6%94%ec%a6%9d-%eb%b0%8f-%ed%98%91%ec%b0%a9%ec%a6%9d-%ed%99%98%ec%9e%90%ec%9d%98-%ec%b9%98%eb%a3%8c-%ec%82%ac%eb%a1%80/

 

제가 주로 사용하는 치료방법은 아피톡신 면역 봉독, 심부봉독 그리고 척추 면역 한약 등입니다. 이들 치료는 항염증, 진통 효과 뿐만 아니라 근육 등 조직에 기혈의 순환 대사를 촉진시켜 근육을 강하게 해주는데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아피톡신 봉독의 경우 단일 용량으로 쭉 시술하는 것이 아니라 용량을 빠르게 증량하는 방식이므로, 환자의 체질에 따라 소양감과 부기 등이 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차 시술 전에 알레르기 스킨 테스트를 거쳐 음성인지를 확인하고 또한 환자에 맞는 시술량을 정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Avatar for

OMD Hwang OMD Hwang

안녕하세요~ 새몸처럼한의원 원장, 한의학박사 황태현입니다.

저는 2008년부터 면역봉독(아피톡신), 심부봉독과 가열식 화침 그리고 한약이라는 한의학적 방법으로 척추, 관절, 자가면역질환, 신경통 및 연부조직 질환 등을 치료해 왔습니다.
치료가 자신있는 질환으로는 디스크 탈출증(경추, 흉추, 요추), 척추증, 관절염, 테니스 엘보, 대상포진후신경통, 삼차신경통, 후두신경통, 소아 편두통, 천장관절증후군, 산후풍, TFCC, 아킬레스건증, 궤양성 대장염, 역류성 식도염, 위염, 과민성장증후군, 이석증, 메니에르증후군 그리고 비만(다이어트) 등입니다.
이들 질환에 대한 위의 치료방법은 크게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생체의 자생력을 강화하여 조직을 빨리 회복하고 염증을 치료하는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동안의 치료 경험과 과거 작성했던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를 바탕으로 지금 이 홈페이지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제가 직접! 자주 방문해주시고, 조금이나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정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의학적 상담이나 진료 예약이 필요하시면, 아래 네이버톡 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답글 남기기

Not logged-in user avata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찾아오시는 길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