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급성 허리 통증

급성 허리 디스크 탈출증에서 생기는 다리 통증과 저림의 원인과 특징, 좌골신경통에 대해서

직립 보행하는 인간의 허리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고한 영국의 시리악스(James Henry Cyriax M.D., 1904-1985)는 크게 3가지 요인으로 구분했습니다.

  1. ​첫째, 인대기원성(Ligamentous origin)
  2. 둘째, 디스크기원성(Discogenic origin)
  3. 셋째, 협착증기원성(Stenotic origin)

간단히 이들 분류에 대해서 설명하면,

  1. 우선 인대기원성 요통의 경우, 척추의 극돌기에 부착된 인대들, 주로 극상인대와 극간인대의 염좌 및 파열로 인해 발생하는 요통으로 흔히 요부염좌(Lumbar sprain)라고 부릅니다. 이 경우에 발생하는 통증은 무척 국한적인 통증이며, 통처는 허리 정중앙으로 해당 척추 극돌기 부위에서 디스플레이되는데 압진자로 눌러보면 심한 통증을 환자는 느끼게 됩니다. 당연히 허리를 숙일 수 없거나 숙일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2. ​디스크기원성 요통의 경우, 척추 사이에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 중 수핵(Nucleus polosus)이 섬유륜(Fibrous ring)을 밀고 나오거나[팽윤, bulging stage] 혹은 찢고 나오면서[돌출 또는 파열, protrusion or extrusion] 허리의 통증과 해당 척수신경에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을 야기합니다. 역시 허리를 숙일 수 없거나 숙일 때 더 통증이 나타납니다. 인대기원성 요통과의 차이가 바로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탈출된 척추-디스크 분절이 많으면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심지어는 발목 이하 부위까지 당기고 저리는 통증이 생깁니다.
  3. 마지막으로 협착증기원성 요통은 다시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의 비후, 후관절병증(Facet joint syndrome), 척추의 퇴행성 척추증 등입니다. 중심성 척추강내 협착증(Spinal stenosis)이냐 외측성 추간공성 협착증(Foraminal stenosis)이냐의 구분이 또 있습니다만, 어쨌든 척수의 압박 등으로 인해 하지 신경의 저림, 이상감각, 마비, 위축 등 허리보다는 주로 하지의 통증 등 신경병증성 통증이 더 우세합니다. 이 요통은 앞선 두 타입의 요통에 비해 허리를 숙일 때보다 허리를 펼 때 더 불편합니다. 과거 꼬부랑 할머니의 상태가 대부분 이 타입에 해당합니다.

이상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인대기원성 요통 디스크기원성 요통 협착증기원성 요통
원인 조직 인대, 주로 극상 및 극간 인대 요추 추간판(디스크) 황색인대, 후관절, 척추체
병리 인대의 이완 및 파열 수핵의 탈출 또는/그리고 섬유륜의 파열, 이에 따른 척수신경의 압박과 염증 비후, 퇴행성이며, 하지 증상은 주로 하지 정맥의 허혈에 기인
병인 병리의 특징 기계적 장애 기계적 장애 + 염증 장애 + 일부 면역학적 장애 퇴행성 장애 + 면역학적 장애
요통 국소적인 통증이 허리 중앙에 발생 인대기원성 보다는 덜 국소적임 요통은 경미하거나 없을 수 있음
다리 통증과 좌골신경통 없음 없거나(초기) 있음(중, 후기) 대부분 있음
통증 양상 주로 허리 굴곡시 심함, 앉아 있을 때는 통증이 경감되는 경향 대부분 허리 굴곡시, 그리고 앉아 있을 때 또는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통증 허리를 펼 때 더 불편하여, 허리를 굽히게 되고, 앉아 있으면 통증이 덜함
치료 방법 가열침법, 심부봉독 고농도 고용량 아피톡신 봉독과 심부봉독, 한약 고농도 고용량 아피톡신 봉독과 심부봉독, 한약, 재활치료
예후 비교적 단기간(1-2주) 4-8주 비교적 장기 치료(8주 이상) 요함. 8주 가량 치료 후 호전이 없을 때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

 

허리 디스크 탈출증에서 나타나는 신경병증성 하지 통증의 특징, 좌골신경통

다시 이 포스트의 주제로 돌아와서,
허리 디스크 탈출증은 요추간 추간판의 팽윤, 돌출, 탈출 등이 척추나 척수신경을 압박하고 염증을 일으켜서 병변이 있는 요추 분절의 통증(즉, 요통)과 척수 신경의 피부분절(Dermatome)과 근절(Myotome)로 이상감각과 근육통을 야기하는 질환입니다.

척수 신경의 압박과 염증이 진행됨에 따라 척수 및 척수 신경 세포에 허혈을 일으키구요, 이 쯤 되면 당기는 통증을 넘어 저림, 감각 저하, 화끈거림 또는 차가움, ‘내 다리 같지 않음’, 못이 찌르는 듯 한 느낌 등 이른바 ‘신경통’으로 진행되는데 이를 좌골신경통(Sciatica)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따라서 심한 좌골신경통까지 진행된 환자들은 다리쪽의 혈액순환 장애가 생겨 체열진단 검사를 해보면 한쪽 다리가 반대쪽 다리에 비해 체표열이 꽤 현저히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허리 디스크 환자의 체열진단

(요추 디스크 탈출증으로 인해 허리와 오른쪽 엉덩이 및 발목까지 통증과 저림이 있는 환자의 체열검사. 오른쪽 다리(붉은 사각형)의 체열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와 그에 따른 다리의 신경병증성 통증은 위의 표에 있듯이, 기계적 장애(섬유륜의 파열)와 염증성 장애 및 면역학적 장애가 모두 함께 있는 질환입니다. 그래서 치료를 할 때는 단순히 소염진통만 시킬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보고 재발방지 목적에서 디스크의 강화와 면역학적 환경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제가 과거 구미에서, 그리고 지금 부산에서 진료를 하면서 10여년 넘게 디스크 질환을 치료하면서 경험한 바에 따르면, 고농도 아피톡신 봉독이 항염증 및 면역 강화 효과가 우수하였습니다. 이 아피톡신 면역 봉독 요법을 근간으로 하면서 염증한약을 초기에 짧은 기간 투여하게 됩니다. 또한 심부봉독을 척추 기립근과 장요인대, 천장인대 등에 시술하면서 요추를 둘러싼 전반적인 보강 치료도 할 때 만족도는 더욱 높아집니다.

Avatar for

OMD Hwang OMD Hwang

안녕하세요~ 새몸처럼한의원 원장, 한의학박사 황태현입니다.

저는 2008년부터 면역봉독(아피톡신), 심부봉독과 가열식 화침 그리고 한약이라는 한의학적 방법으로 척추, 관절, 자가면역질환, 신경통 및 연부조직 질환 등을 치료해 왔습니다.
치료가 자신있는 질환으로는 디스크 탈출증(경추, 흉추, 요추), 척추증, 관절염, 테니스 엘보, 대상포진후신경통, 삼차신경통, 후두신경통, 소아 편두통, 천장관절증후군, 산후풍, TFCC, 아킬레스건증, 궤양성 대장염, 역류성 식도염, 위염, 과민성장증후군, 이석증, 메니에르증후군 그리고 비만(다이어트) 등입니다.
이들 질환에 대한 위의 치료방법은 크게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생체의 자생력을 강화하여 조직을 빨리 회복하고 염증을 치료하는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동안의 치료 경험과 과거 작성했던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를 바탕으로 지금 이 홈페이지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제가 직접! 자주 방문해주시고, 조금이나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정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의학적 상담이나 진료 예약이 필요하시면, 아래 네이버톡 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답글 남기기

Not logged-in user avata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찾아오시는 길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