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인대 염좌

인대의 인장강성 문제

인대와 힘줄의 염좌

발목 염좌, 손목 염좌라고 할 때 염좌 혹은 ‘삐었다’는 현상은 관절 부위 치밀결합조직의 기계적 장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기계적 장애란 인장강성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병리적 장애인데, 다시 말해서 잡아당기는 외력에 저항하는 힘의 한계치를 넘어서 발생한다는 뜻으로, 더 쉽게 말하자면 잡아당겨져서 늘어난 것입니다.

치밀결합조직의 이완이란 인대나 힘줄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상태 혹은 인대 길이는 증가되지 않았지만 섬유-골막 연접부에서 통증과 장애가 발생하는 상태로 정의합니다. 반면 파열은 이러한 기계적 연속성이 일부 혹은 전부에서 명백하게 파괴된 상태로 치밀결합조직의 섬유가 다소 혹은 전부 끊어졌음을 의미합니다.

 

인대 손상의 분류

  • 1도 손상 : 이완 및 일부 부분파열
  • 2도 손상 : 부분 파열
  • 3도 손상 : 완전 파열 또는 그에 준하는 파열

1도 손상이 통증은 가장 심하고, 3도 손상이 통증은 가장 적은 경향을 보입니다. 대신 운동성과 안정성이 현저히 감소합니다. 그러므로 통증에 비례해서 병의 경중을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특히 완전 파열의 경우 최대한 빨리 수술적 치료로 고쳐야 합니다.

 

발목 염좌의 진단: 오타와 룰(Ottawa Ankle Rule)

오타와룰, 발목 인대 손상과 골절을 감별

 

이학적 검사로 인대의 손상이 아닌 골절이 의심될 때는 X-ray나 초음파 검사를 통해 골절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한의학적 치료법

  1. 가열식 화침(IPS) : 손상된 인대에 침을 삽입하고 열을 가열해서 인대나 힘줄의 인장강성을 높이는 치료법
  2. 저농도 봉독 치료 : 인대 및 주변 조직의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
  3. 고농도 면역봉독 치료(apitoxin) : 요추의 분절 장애가 발목에 영향을 줄 때 척추 분절에 고농도 면역봉독 치료

 

만성적인 인대 손상은 해당 관절 뿐만 아니라 몸의 축인 골반과 척추에도 왜곡을 진행시켜 일상생활 조차도 힘들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복잡부위통증증후군(CRPS)으로 되기도 합니다. 초기에 단순히 깁스 등 고정으로만 회복되지 않는다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찾아오시는 길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