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 디스크 탈출증

진화 때문에 생기는 허리병?

요추 디스크란?

요추간판탈출증(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k, HIVD), 즉 허리 디스크는 허리 척추 사이의 쿠션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가 전위되어 척수나 척수 신경을 압박, 염증을 일으켜 허리와 엉덩이 다리쪽으로 통증 혹은 감각 장애가 나타나는 신경학적 장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인

허리 디스크 탈출증의 주된 원인은 디스크(추간판)의 노화라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약해지는 추간판을 싸고 있는 섬유륜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섬유륜 속의 수핵이 탈출하게 됩니다.

 

유발인자

평상시의 과로, 외상(잦은 교통사고나 스포츠 손상 등), 스트레스, 근육의 뭉침 혹은 약화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 오래 앉아 있는 생활 태도를 들 수 있습니다.

 

증상

  • 허리 통증
  • 허리의 운동성의 제한 : 허리를 굽히거나 의자에서 일어설 때 통증
  • 다리가 아프고 저린다
  • 다리의 근력의 감소 혹은 심할 때 발목이 축 처짐(족하수, Foot drop)
  • 중증의 경우, 대소변 기능이상, 하지의 마비

 

서양의학적 치료법

급성기의 경우 진통소염제 등 약물 치료가 우선 선택됩니다. 그 외 요대(복대), 견인치료 등 물리치료를 진행하다가, 호전이 없다면, 경막외강 스테로이드 주입 혹은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 등을 시술합니다.
마지막으로 호전되지 않을 때 수술적 방법을 고려합니다.

 

한의학적 치료법

  • 고농도 정제 봉독 시술(apitoxin) : 아피톡신 봉독 성분 중 멜리틴은 항염, 항생, 진통 및 면역강화 작용이 있어 진통과 허리 척추 주변의 조직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사람에 따른 봉독의 과민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초기에 알레르기 테스트 후 점차 증량합니다. 초기에는 주3회(2일에 한번) 시술받다가 효과가 나타나면 주2회씩 치료합니다. 통상적으로 2~4개월 가량 치료합니다.
  • 심부봉독(Deep venom therapy) : 요추의 후관절과 주변 인대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저농도의 아피톡신 봉독을 시술합니다. 특별히 과민반응이 생기지 않고 요추를 둘러싼 인대를 강화하는 효과가 좋습니다.
  • 염증한약 : 탈출된 디스크가 척수나 척수 신경 혹은 신경근에 염증을 일으키므로 초기에 염증한약을 써서 진통과 소염 효과를 촉진합니다. 회복기에는 면역한약을 써서 근육과 척추 주위의 인대 등을 강화시킵니다.
  • 침, 부항, 물리치료
  • 추나치료(요추 교정) : 허리 주변의 경축된 근육의 긴장도를 완화하면 골반과 요추를 교정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1년에 20회 시술받을 수 있습니다.

 

환자의 자가 관리

  • 항상 허리에 부담이 되지 않는 자세를 유지합니다. 특히 오래 앉아 있는 자세를 피합니다.
  • 물건을 들 때는 최대한 몸통에 붙여 들고, 허리를 굽혔다 일어서지 말고 무릎을 이용해서 물건을 들고 내립니다.
  • 아침에 기상 후 간단한 허리 스트레칭을 합니다. 특히 메켄지 운동법은 허리 디스크의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취침할 때는 비교적 딱딱한 바닥에서 주무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찾아오시는 길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