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 협착증

협착된 척추관의 압박을 해소할 것!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이란 여러 원인으로 인해 척추관,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척추관(Spinal canal)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빈 공간으로 척수가 지나가는 통로이며 또한 척수를 보호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허리에 많이 발생하는데, 척추뼈의 퇴행화, 디스크의 퇴행성 탈출 및 후관절의 염증 그리고 황색인대의 비후 등이 주요 병리가 됩니다. 이러한 척추관 협착증이 목(경추)에 생기게 되면 목과 팔로 마비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를 경부척수증이라고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 MRI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의 비교

# 허리 디스크 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발생 연령 주로 20~40대 50~60대 이상
주요 증상 허리를 굽히면 아프다
다리가 저리거나 아프다
앉아 있으면 더 심해진다
허리를 굽히면 편하다
허리보다 엉치, 다리, 발쪽이 저리고 시리다
걸으면 더 아파 쉬었다 가고, 앉으면 편해진다
자가 진단 누워서 다리를 편채 들면 뒤쪽이 당긴다 누워서 다리를 들어 올리는 것은 힘들지 않다

 

서양의학적 치료법

  • 운동 제한, 보조기
  •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트라마돌
  • 물리치료
  • 수술 : 감압술 및 유합술

 

한의학적 치료법

  • 면역 한약(척추 보약) : 허리 디스크에 비해 염증 반응이 뚜렷하지 않으므로 염증한약보다는 면역 한약의 복요이 더 우수합니다. 주로 녹각, 녹각교, 녹용 등이 포함된 한약입니다.
  • 고농도 정제 봉독(apitoxin) : 척추관 협착증은 만성적이고 퇴행성 척추 질환이므로 주 2회 6개월 이상 꾸준한 봉독 치료가 필요합니다.
  • 심부봉독(Deep venom therapy) : 척추 주변 심부 근육이나 극간인대, 후관절, 천장관절 등 깊은 부위에 위치한 인대를 목표로 시술합니다.
  • 화침(IPS) : 척추 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는 목적으로 시술합니다.
  • 추나요법(요추 및 골반의 교정) : 환자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강한 쓰러스트 보다는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류를 개선하는 부드러운 방법으로 진행합니다. 건강보험 적용으로 1년에 20회까지 가능합니다.

 

환자의 자가 관리

  •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벼운 보행 등 꾸준한 운동을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침대는 딱딱한 매트리스보다는 좀 푹신한 매트리스가 더 좋습니다.
  • 척추와 디스크 등에 혈액 공급을 방해하는 흡연은 피하셔야 합니다.
  • 허리가 구부려진다면 보행의 안정성을 위해 지팡이를 이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 무엇보다 꾸준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찾아오시는 길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