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열식 화침

인대, 힘줄 장애를 치료하는 HOT한 치료법

화침(火針)은 과거에 없던 생소한 치료법은 아닙니다. 황제내경이라는 한의학 의서에도 “번침(燔針)”, “쉬침”이라는 언급이 있었고, 조선시대 이형익이라는 의관이 인조의 병을 번침을 써서 치료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여기서 번침이라는 것이 현재의 화침과 유사한데, 기름 등 뜨거운 물질에 침을 달구어 자색(紫色)이 되면 시술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과거의 화침 시술은 불에 침을 달구어 발갛게 된 것을 환부에 자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효과가 좋으나 몇 가지 불편함 혹은 화상이라는 부작용 그리고 뜨거워진 침을 정교하게 환부에 시술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런 불편함을 한의사 오승규에 의해 보완된 방법이 바로 가열식 화침(Intra-Peritoneal Stimulation, IPS)입니다. 현재는 가열침술, 심부 가열침술, 표부 가열침술 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심부 가열식 화침(가열침술)은 주로 인대나 섬유성관절낭의 염좌, 힘줄의 부분 파열 그리고 타박상 등에 사용합니다. 또 침을 깊숙히 찔러넣지 않고 피하 정도까지만 자입하고 가열하는 방법을 표부 가열식 화침이라고 하는데, 이 경우에는 고질적인 근육통 등에 활용해보니 일반 침치료보다 좀 더 효과가 좋습니다.

이 가열식 화침을 쓰려면 정확한 병소를 체크하고 병소의 원인이 인대나 힘줄 같은 치밀결합조직의 장애임을 구별하고 정확하고 위험하지 않게 시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열식 화침요법의 적응증

  • 인대의 염좌 및 부분 파열
  • 힘줄(건)의 염좌 및 부분 파열
  • 근육의 좌상, 타박상, 멍

찾아오시는 길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