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니에르증후군

회전성 어지러움과, 두통, 구토 그리고 난청

메니에르 증후군(Méniére’s syndrome)은 귀의 충만감이나 압박감, 청력의 상실, 이명(귀울림) 및 반복적이고 재발적인 현기증을 유발하며, 주로 30~60세에서 다발합니다. 이 질환은 수십 년 동안 자주 지속되는 발작성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한 쪽 귀에만 발생하지만, 때로는 양측성일 수 있습니다. 급성 발작성의 에피소드는 1년에 약 6-11번 가량 집중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관해는 몇 달 또는 몇 년에 걸쳐 일어납니다. 환자들은 급성 발작기에 매우 불안하고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어지럽고 메스껍고, 운전하다가 현기증이 발생할까 두려워 자가 운전을 포기하기도 합니다.

이 현기증은 발작성으로 자타 회전감(자기가 도는 느낌 또는 주변이 도는 느낌으로 ‘현훈증’이라고도 부릅니다)인데, 이 때 환자들은 구토나 메스꺼움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이 메니에르병은 초기 진행성으로 악화되지만 어떤 요인인지는 몰라도 증상의 증감이 있습니다. 추정컨대 몸의 상태, 편안한 기분, 소화나 수면 상태에 따라 병세가 더 악화되거나 또는 경감되는 것으로 저는 알고 있습니다. 미리 저의 치료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메니에르증후군을 치료해보면, 현훈증은 대부분 쉽게 해소되지만 청력의 저하나 이명은 의외로 완고한 치료 예후를 보이는 것 같습니다. 외국의 의학 논문을 찾아 보면 “현기증은 일반적으로 해소되지만 청력은 악화되고 치료와 무관하게 이명과 충만감은 지속될 수 있다”고 합니다.

 

메니에르증후군의 진단

메니에르증후군의 원인 파악은 쉽지 않는 편입니다.

​따라서 현기증을 일으키는 다른 질환들, 예컨대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증(Benign Peroximal Positioning Vertigo, BPPV)이나 급성 미로염 및 청신경종과 감별해야 할 필요가 우선 있습니다. 이 질환을 최초로 기술한 메니에르(Prosper Menière)조차 편두통이나 난청 환자와 이 질환 환자를 구별하는데 애를 먹었을 정도라고 하는데요, 미국 이비인후과 학회(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의 메니에르병 진단 분류를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 20분 이상 지속되는 자발적 회전성 현훈증으로 정의합니다.
(이 표의 출처는 Tony Wright. Méniére’s disease. BMJ Clin Evid. 2015 Nov 5. 임의 번역하였고 괄호 속에 원문을 남겨두었습니다)
확실한 분류(Certain) 분명한 메니에르병 더하기 사후 확진(Definite Menière’s disease plus postmortem confirmation)
분명한 분류(Definite) 2번 이상의 현훈증*의 에피소드 더하기 청력학적으로 확인된 감각신경성 난청. 이명이나 귀충만감 더하기 기타 원인들의 배제(Two or more episodes of vertigo* plus audiometrically confirmed sensorineural hearing loss; tinnitus or aural fullness plus other causes excluded)
개연성 높은 분류(Probable) 1번의 현훈증* 에피소드 더하기 청력학적으로 확인된 감각신경성 난청 더하기 이명이나 귀충만감. 다른 원인들은 배제(One episode of vertigo* plus audiometrically confirmed sensorineural hearing loss plus tinnitus or aural fullness; other causes excluded)
가능성 있는 분류(Possible) 청력소실이 없는 현훈증*의 에피소드 또는 불균형을 동반한 감각신경성 청력 소실. 기타 요인들은 배제됨 (Episodes of vertigo* with no hearing loss, or sensorineural hearing loss with dysequilibrium; other causes excluded)

 

100% 확실한 메니에르증후군은 사후 부검을 통해서 밝혀질 따름이며, 나머지는 증상들의 종류와 갯수로 판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석증(Benign Paroximal Positioning Vertigo)와 달리 안구진탕(Nystagmus)은 잘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메니에르병의 예후

메니에르증후군은 초기에는 진행성으로 악화되며 증상이나 빈도, 정도가 예측할 수 없을만큼 잘 변하는데요, 아래 참고문헌 2번째 논문을 보면, “자연적인 해소와 치료의 효과를 구분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현훈증의 급성적인 발생은 처음 몇 년간 점차 증가하는데 이어서 청력 저하가 나타나면서 현훈증의 빈도는 감소하다가 결국 사라집니다. 다만, 상당수(아래 참고문헌 2의 논문에 의하면 82%)가 중등도에서 중증의 청력소실(난청)이 생겼고, 또 47%는 양측성으로 발전한다고 합니다. 청력소실 이외의 증상들은 치료와 무관하게 60~80%가 개선된다고 하는데, 사실 현훈증과 구역, 구토, 소화불량 등의 증상들이 실제로는 당장으로는 더 불편한 증상들이 되겠습니다.

 

메니에르증후군의 치료

알려진 서양의학적 치료법으로는 이뇨제, 고실내 겐타마이신(Intratypmpanic gentamicin), 경구용 고용량 베타히스틴(Oral hig-dose betahistine), 고실내 스테로이드 그리고 고실내 스테로이드 + 고용량 베타히스틴 등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한의학적 치료방법에 대해서는

  • 담적 치료 한약: 소화기관 또는 전신에 잉여 노폐물질 또는 독소를 한의학에서는 담적으로 이해하는데, 이를 제거하고 신생 체액의 생성을 촉진하는 한약을 처방합니다.
  • 자율신경계 치료: 침과 뜸치료
  • 고농도 면역봉독(apitoxin) 치료: 알레르기 스킨 테스트를 통해 과민도를 분류한 후 반응성에 따라 증량하여 시술합니다.
  • 태반 약침(자하거 약침): 간기능을 개선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목적으로 시술합니다.
  • 필요시 경추 추나 요법

등이 있습니다. 이석증과는 달리 이석교정술(Brandt-Daroff Exercise, Epley manuver)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찾아오시는 길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