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증이란?
정확한 병명은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증(Benign Paroximal Positional Vertigo, BPPV)라고 하는데, 그 원인은 귀속의 내이(inner ear) 부분에 어떤 찌꺼기나 가루 같은 것들이 들어차서 생기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 귀속의 이석(ear rocks, 공식적인 의학용어는 otoconia)은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의 작은 결정체인데, 주로 난형낭(둥근 주머니, utricle)이라고 하는 구조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이석들이 달팽이관에 있다가 머리를 들어올리거나, 목을 돌릴 때 이 “귀속의 돌가루”들이 붕~ 떠버리게 되고 이 때 심하게 어지럽게 됩니다. 그 후 어지러워 뭔가를 잡고 가만히 서 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있어서 몸을 고정시키고 나면 림프액 속에 붕~ 떴던 이석들이 시간이 지나면 살~ 가라앉게 되고 그러면 어지러움도 가라앉게 됩니다. 따라서 이 어지러움이 형태가 갑자기(=발작성, paroximal) 자세에 따라(=체위성, positional) 빙빙 돈다(=현훈증 眩暈證 vertigo)고 해서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증이라고 정의합니다.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증, 즉 이석증은 모든 현기증의 약 20% 가량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연세가 많을수록 더 잘 생기는데, 노년층의 어지러움의 약 50%까지 이 병으로 어지럽게 된다고 합니다.
이석증의 증상
- 현기증이나 빙빙도는 현훈증, 머리가 무겁고 멍함, 균형감각이 떨어지고, 속도 울렁거린답니다. 대개 머리를 어떻게 할 때 발생하는데, 주로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혹은 돌아누울 때 발생합니다.
- 또 배관이나 설비 작업을 많이 하시는 분들 중에서 머리를 들어 천정을 보면서 작업하시는 분들도 작업 중에 어지러움을 잘 느낄 수 있구요, 미용실에서 머리를 하고나서 샴푸실에서 앉아 뒤로 누워 머리를 감아줄 때도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답니다.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증은 사실 장기화되지는 않는 편이지만 잘 재발을 합니다. 만약 어지러움이 없어지는 기간(휴지기)이 짧아지면, 환자들은 거의 매일 현기증을 달고 산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석증의 원인
- 50대 이하의 사람에서는 가장 흔한 원인이 바로 머리의 충격이나 외상입니다. 또한 편두통과도 관련성이 많습니다.
- 반면에 노년층 환자들에서는 가장 흔하게 이유 없는 달팽이관의 퇴행성 변화(즉, 노화 과정) 때문에 생깁니다. 이러한 경우를 의학용어로 “특발성(idiopathic)”이라고 부릅니다.
- 그 외 바이러스 문제(전정신경염, vestibular neuritis), 뇌졸중(전하소뇌동맥증후군, AICA syndrome),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등도 한 몫을 차지하지만, 그리 흔하지는 않습니다.
한의학적 치료법
- 한약 : 대부분 머리로의 혈류량을 증대시키고 위장을 보강하는(소화기관의 담적을 제거) 약재 위주로 구성됩니다. 대개 잘 어지러운 분들은 위장의 구역감, 소화불량 및 젊은층에서는 생리불순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한약은 환자의 어지러움, 이석 뿐만 아니라 체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고농도 면역봉독요법(apitoxin) : 경추에서 머리로 올라가는 근육과 신경에 작용해서 추골동맥의 순환을 좋게 만듭니다. 통상 10~15~20회 정도까지 병의 이환시기에 따라 시술 기간이 달라집니다.
- 이석교정법 (Epley manuver) : 이석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교정법입니다. 아울러 경추의 교정치료도 병행합니다.
이석증의 자가관리
- 브랜드-다로프 운동법(Brandt-Daroff Exercise)
- 가정용 Epley 교정법(Home Epley manuver)
주의
- 첫째는 반드시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증, 즉 이석증으로 진단받은 경우에만 효과가 있습니다.
- 둘째는 이 셀프 교정 중에 이석이 다른 반고리관으로 들어가 폐색을 일으키는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셋째는 드물지만 추골동맥의 압박으로 인해 더 심한 현기증, 두통 등 신경학적 장애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