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 자주 나는 우리 아이 뭐가 문제일까요?
양산 사송 새몸처럼한의원의 진료 경험에서 설명드립니다.
사람의 코 안에는 후신경과 더불어 모세혈관(정맥총)들이 촘촘히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 정맥총들(Kiesselbach’s plexus, 키셀바하 정맥총) 때문에 비강 내부는 항상 축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꽃가루 등에 코 점막이 민감하게 반응하여 콧물, 재채기, 비강 충혈 등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잘 생기게 됩니다.
또 하나의 문제는 바로 ‘코피’인데요, 어린아이들은 무심코 혹은 습관적으로 코를 후비거나 코안에 어떤 조그만 물체(주로 땅콩)를 넣는 경우가 많아요. 그 과정에서 혈관벽이 약한 키셀바하 정맥총을 건드리면서 코피가 잘 생긴다고 봅니다.

하지만 코를 자극하거나 후비는 습관이 없는 아이들에서도 코피가 자주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한의학적으로 진찰할 때 보통 ‘화열(火熱)’이 많거나 ‘기허(氣虛)’로 발생한다고 합니다.
중국 송나라의 전을이라는 의사는 소아는 “양상유여(陽常有餘, 양기가 항상 여분이 있다, 즉 항상 양기가 많다)하다”라고 하여 항상 몸에 양기 혹은 화열이 많은 상태로 묘사하였는데요, 그러다 보니 날씨가 더워지는 계절이나 열감기 등에서 코피를 잘 쏟아내게 됩니다.
이런 경우는 머리와 얼굴로 상승하는 화와 열을 진정시키는 처방들을 복용하면 몇 첩 복용하지 않아도 곧 좋은 효과를 가집니다.

한편 어린아이인데도 불구하고 항상 피곤해하고 기운도 없고, 식은 땀도 자주 흘리고 밥도 적게 먹으면서 대변도 무르게 보는 아이에서 특이하게 잦은 코피를 보인다면, 이 경우는 화열이 많아서가 아니라 기운이 약해서 발생하는 코피입니다. 이를 기허라고 한의학에서는 진단합니다.
이 경우 냉성 한약재인 석고, 황금, 치자 등의 한약재를 쓰게 되면 오히려 체력과 기운이 더 약해져서 패증이 생깁니다. 반대로 인삼, 황기, 녹용, 숙지황 등 기운을 보강(補氣, 보기)하면서 보조적으로 지혈시키는 약재를 쓰게 됩니다. 그러니까 보약이 필요한 거죠.

물론 특이한 질병들도 있습니다. 혈우병이나 알레르기성 자반증 등 대표적인데, 혈우병의 경우는 유전적인 문제로 혈액응고 장애로 발생하는데 여자에게는 없습니다(태아에서 사산됩니다). 알레르기성 자반증은 사실 코피보다는 피부 멍 같은 출혈성 반점이 더 대표적인 증상이 될 것입니다. 잘 멎지 않는 코피가 자주 된다면 이런 질환들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요컨대 앞서 언급했듯이 가장 흔한 경우는 코를 파고 코안에 작은 물체를 넣는 등의 행위이므로 부모님들은 유심히 살펴보시고, 지도를 해주셔야 합니다. 지도를 할 때가 중요한데, 코를 만질 때마다 혼을 내시면 곤란합니다. 대신 코를 만지지 않으려 노력할 때 격려와 칭찬을 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도 만약 코피가 잦다면, 양산 사송 새몸처럼한의원에서 병증과 체질에 맞게 한약을 투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게시물을 SNS에 공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