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은 12개의 뇌신경 중 5번째인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CV Ⅴ)에 염증이나 손상 등이 생겨서 감각이나 운동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 증상은 얼굴 감각의 저하와 음식을 씹을 때 힘이 약해지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 후 굉장히 강한 날카로운 통증이 얼굴의 한쪽에서 나타나는데, 그 통증은 전기가 통하는 듯한 느낌, 하품만 해도 기절할 것 같은 통증, 송곳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 바람만 닿아도 아픈 통증 등이 수 초에서 1~2분간 지속됩니다.
얼마나 아픈지 주기적으로 눈을 찡그리는 현상도 나타나는데 이를 틱 통증(tic douloureux)이라고 합니다.
삼차신경통의 증상
- 얼굴에 감각의 저하가 일어난다,
- 씹는 힘이 떨어진다,
- 날카로운 송곳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낀다,
- 바람이 불어도 혹은 살짝 하품만 해도 아프다,
- 이런 통증들이 몇 초에서 1~2분씩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 통증이 심해 인상을 찡그린다,
- 음식을 씹거나 말을 할 때 통증이 유발된다,
- 얼굴의 어느 지점을 건드리면 통증이 유발된다(통증 유발점),
- 이 통증 유발점은 대개 안면의 중앙부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요컨대, 얼굴 한 쪽에 찌르듯이, 전기 통하듯이 또는 바늘로 찌르듯한 강렬한 통증이 비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하겠습니다.
삼차신경통의 치료법
일반적으로 삼차신경통은 통각과민 혹은 신경병증성 통증의 한 범주로 봅니다. 대상포진이나 중이염 같은 염증 혹은 감염성 질환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원인이 머리의 충격, 외상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결과 삼차신경핵 혹은 간혹 다른 뇌신경핵에 손상이 생겨 삼차신경통이 생긴다고 합니다. 그래서 머리 외상이 크다면 대개 MRI 촬영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뇌 혹은 핵의 손상이 없다면 이 삼차신경통의 범주는 신경병증성 통증, 통각과민으로 이해해서, 양방 병의원에서는 주로 카바마제핀(Carbamazepine)이나 리리카캡슐(Lyrica cap.) 등 항간질약물을 처방합니다.
이 약물들은 원래 간질을 치료하는 약물로서, 신경병증성 통증 쉽게 말해 신경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답니다.
문제는 이 약물들이 의도치 않는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는 겁니다.

위의 캡쳐된 설명서에서 가장 걱정스러운 반작용이 자살충동과 자살행동이구요, 그 다음이 스티븐스-존스 증후군(SJS)이나 독성표피괴사증(TEN)입니다. 이 SJS나 TEN도 사실 굉장히 심한 부작용입니다.
과거 대상포진후신경통으로 이 약물 종류를 복용하시는 분들 중에서 몇 분은 죽고 싶다, 뭔가 기분이 이상해진다 등의 감정변화를 언급하신 분들이 계셨습니다. 보호자들은 ‘너무 아파서 그러나보다’라고 생각하지만, 혹시라도 이 약물의 반작용일 수 있으니 반드시 가족들은 잘 보살피셔야 하구요, 이 약물의 처방 주치의에게 말씀을 반드시 드려야 합니다.

양산 새몸처럼한의원의 봉독약침(아피톡신) 치료법 간략 소개
저는 주로 신경통, 염증, 면역강화에 효과적인 고농도 정제 봉독 약침(아피톡신)을 써서 삼차신경통을 다스립니다. 다만 그 통증이 매우 극심하고 얼굴이라는 민감한 부위라 굉장히 조심스럽게 시술해야 하는데요, 이 삼차신경통의 통증도 워낙 강렬해서 거의 모두 봉독약침 시술을 잘 참아내십니다.
봉독의 시술 횟수는 주 2~3회씩 해서 대략 20~30회, 만약 연세가 60세 이상의 어르신이라면 그 이상 시술이 요구됩니다.
아울러 염증한약을 써서 안면의 혈액과 영양의 공급을 촉진시켜 주어야 하는데요, 이 삼차신경통 한약은 추후에 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
그 외에 추가로 자하거약침(태반약침)을 병행합니다. 태반약침은 인태반에서 추출한 성분을 약침으로 제조된 건데요, 일반적으로 간기능의 개선과 회복 뿐만 아니라 내과 질환이나 신경통, 여성의학과 질환 등에도 응용합니다.
아피톡신 봉독과 태반약침, 신경통 한약으로 대상포진후신경통 치료한 후기

한쪽 얼굴이 극심히 아픈 삼차신경통!
분명 힘든 병이긴 하지만, 미소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을 SNS에 공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