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허리디스크(요추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은 더 이상 노년층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사무직에서 장시간 앉아 있는 청장년층, 육체노동으로 허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중년층, 혹은 갑작스러운 무리한 운동으로 부상을 입은 초기 노령층까지. 어느 날 갑자기 “허리에서 다리까지 찌릿한 통증”으로 병원을 찾게 되는 사람들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에 따르면, 65세 이상에서 척추 수술을 하게 되는 가장 흔한 척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요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양방 신경외과나 정형외과에서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 다양한 보존적 치료가 있지만, 통증이 심하거나 마비 증상이 동반되면 결국 수술이라는 단어가 언급됩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디스크 제거술, 척추 고정술 등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수술은 언제나 만능은 아닙니다.
수술 후 실패 증후군(FBSS)이란?
FBSS(Failed Back Surgery Syndrome)은 말 그대로 수술 후에도 통증이 계속되거나, 오히려 악화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를 ‘수술 후 실패 증후군’이라 부르며, 환자 입장에서는 이름만 들어도 절망적인 느낌을 받기 쉬운 의학 용어 내지는 상병명입니다. 이미 가장 침습적인 치료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나아지지 않은 상태, 그 절망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겁니다.

전 세계적으로 허리 수술 후 FBSS의 유병률은 다양한 연구에서 각기 다르게 보고되고 있는데요. 연구 방법, 환자 집단, 수술 유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한 연구에서는 수술 후 만성 통증의 유병률이 5%에서 27.6% 사이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약 14.97%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허리 수술 후 6개월 이내에 5.4%, 12개월 이내에 8.4%의 환자가 FBSS로 진단되었다고도 합니다.1, 2
이러한 FBSS 환자들은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는 더 이상의 치료 옵션이 제한적입니다. 수술 이후의 상태는 의학적으로도 더 다루기 어려운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환자들이 고통을 안고, 그러나 마지막 희망을 품고, 저희 한의원을 찾습니다.
수술 후에도 치료는 끝나지 않는다 – 양산 사송 새몸처럼한의원의 치료 접근
2009년 이래 약 17년간 아피톡신 봉독약침과 허리 디스크/척추 질환의 치료를 연구하고 임상에 적용해 온 양산 새몸처럼한의원에서는 FBSS 환자들에게 또 다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저희는 단순한 진통 중심의 접근이 아닌, 염증의 감소와 신경 회복을 동시에 겨냥한 한방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피톡신 봉독약침 – 벌독의 재탄생

아피톡신(Apitoxin)은 봉독, 즉 벌에서 추출한 독 성분을 치료에 응용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단순한 민간요법이 아닌, 실제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치료 방식입니다. 새몸처럼한의원에서는 이를 정제된 형태의 봉독약침으로 활용하여, 허리 염증 부위에 직접적으로 시술하여 디스크, 척추 주위의 신경 압박을 완화시키고, 혈류를 개선하여 회복을 유도합니다.
여기에 심부봉독 치료까지 병행할 경우, 피부 표면을 넘어서 근육과 인대 깊숙한 조직까지 봉독 성분이 전달되기 때문에, 통증의 “뿌리”에 훨씬 근접한 위치에서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킵니다.
염증을 다스리는 한약 – 녹용과 녹각교
새몸처럼한의원의 FBSS 한약은 일반적인 보약과는 다릅니다. 염증을 다스리면서도 신체 기력을 회복시키는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녹용과 녹각교는 혈행을 촉진하고, 손상된 디스크나 연골조직의 재생을 도와주는 핵심 약재로 사용됩니다. 허리 디스크 수술 이후 전신 상태가 약화된 환자들에게는 면역력 회복과 염증 조절, 두 가지 모두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 한약은 단순한 영양 보충이 아닌, 치료의 연장선으로 필수적이라고 하겠습니다.
추나 치료 – 구조적 재정렬
수술 후에도 통증이 남아있는 환자들의 경우, 허리의 구조 자체가 미세하게 틀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통증으로 인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조금이라도 통증을 감소시키고자 몸이 만들어내는 병태생리적 현상입니다.
대부분의 한의원 또는 양방 의원에서는 이 “틀어진 척추-골반”의 축이 원인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저는 이에 100% 동의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척추와 골반 축을 재정렬시키는 추나 치료를 통해 요추의 정렬 상태를 바로 잡고, 필요한 경우 부드럽게(너무 강하지 않게) 교정하여 통증 완화와 자세 개선을 함께 도모합니다. 이는 단순한 마사지 수준이 아닌, 해부학적 지식과 숙련된 손기술이 필요한 고난도 치료입니다.

수술이 끝이 아니라면, 치료도 끝이 아니다
저희 양산 새몸처럼한의원에, 아주 오래전에 허리 디스크 수술하신 분 한 명과 허리디스크 수술을 2-3차례나 받으시고도 엉덩이, 다리의 통증, 저림 그리고 위약감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치료를 현재 진행 중입니다.
이런 FBSS를 겪은 환자들의 공통된 정서는 “더 이상 방법이 없다고 했는데, 그래도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감성적 희망을 표현하십니다. 그동안 통증으로 인해 잠도 이루지 못하고, 일상생활은 물론 가족과의 관계까지 악화되었던 상황에서, 한방치료를 통해 조금씩이라도 나아지는 경험은 그 자체로 삶의 질을 바꾸는 전환점이 됩니다.
수술은 분명 현대 의학의 정수입니다. 하지만 FBSS라는 현실은, 수술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특히 허리디스크 또는 척추관협착증이라는 복합적 질환에서는 통증의 원인이 단순하지 않고, 회복 과정에서도 통합적이고도 전인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양산 새몸처럼한의원에서는 17년간 쌓아온 아피톡신 봉독약침과 심부봉독 치료 노하우, 그리고 염증 한약과 추나 치료를 바탕으로 FBSS 환자들에게 또 다른 치료의 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대안이 아닌, 진짜 회복을 위한 또 하나의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혹시 수술 이후에도 고통 속에 있다면, 기억하십시오. 치료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새몸처럼한의원은 이렇게 수술 후 힘든 고통을 겪는 분들의 회복과 재활을 함께 개선해 나갈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출처:
- Alshammari HS, Alshammari AS, Alshammari SA, Ahamed SS. Prevalence of chronic pain after spinal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ureus. 2023;15:e41841.
- Thomaz RP, Valera ET, Moraes FB, et al. The incidence of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varies between 5.4 and 8.4% within the first year after lumbar spine surgery: a systematic review. J Clin Neurosci. 2022;103:96-100.
이 게시물을 SNS에 공유해주세요!